우리 삶의 모든 영역에 존재하는 스트레스
정확한 이해와 적절한 적응이 관건

스트레스란?
일상생활 속에서 혹은 어떤 사건으로 인해 촉발될 수 있는 심리적 긴장과 반응을 의미하고, 때로는 이러한 반응을 만들어내는 상황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스트레스는 생리적, 행동적, 심리적인 반응으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스트레스는 그러나 부적응적 형태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 스트레스는 상황에 대한 적응을 위해 크고 작은 다양한 형태로 우리 삶의 모든 영역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스트레스를 적절히 다루고 적응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스트레스의 원인
스트레스의 원인 역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합니다. 크게 외적 요인과 내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외적 요인(EXTERNAL FATORS)
물리적 환경 : 소음, 빛, 열, 더위, 닫힌 공간, 편리함의 감소 등
사회적 환경 : 조직의 환경(규칙, 규정, 형식적 절차, 마감 시간 등), 사회적 관계(타인의 무례함, 명령, 공격적 태도, 괴롭힘 등)
개인적 사건 : 중요한 사건(생로병사, 경제적 변화, 실직/사업실패, 승진, 결혼/이혼/사별/별거 등) 일상적 사건(출퇴근, 기계고장, 열쇠 잃어버림 등)
사회적 환경 : 조직의 환경(규칙, 규정, 형식적 절차, 마감 시간 등), 사회적 관계(타인의 무례함, 명령, 공격적 태도, 괴롭힘 등)
개인적 사건 : 중요한 사건(생로병사, 경제적 변화, 실직/사업실패, 승진, 결혼/이혼/사별/별거 등) 일상적 사건(출퇴근, 기계고장, 열쇠 잃어버림 등)
내적 요인(INTERNAL FACTORS)
생활의 습관 : 카페인 섭취, 흡연, 수면부족, 과도한 스케줄 등
왜곡된 인지 : 부정적 자기(비관적 생각, 자기 비난, 과도한 분석, 생각의 함정, 비현실적 기대, 사적 감정 개입, 극단적 사고, 과장, 경직된 사고 등)
개인적 특성 : 완벽주의, 알콜중독 등)
왜곡된 인지 : 부정적 자기(비관적 생각, 자기 비난, 과도한 분석, 생각의 함정, 비현실적 기대, 사적 감정 개입, 극단적 사고, 과장, 경직된 사고 등)
개인적 특성 : 완벽주의, 알콜중독 등)
기타(ETC)
물리적 환경 : 배우자의 사망, 결혼 혹은 이혼, 실직 등
사회적 환경 : 교통체증, 지각, 소지품분실, 친구나 가족과의 다툼 등 일상의 사소한 골칫거리들, 직업, 시간압박, 건강, 친구, 대인관계, 금전문제와 같은 영역에서의 발생.
좌절 : 어떤 일이 자신의 뜻이나 기대대로 전개되지 않을 때 느끼는 감정.
심리적 탈진(psychological burnout) : 간호사, 교사, 종교인, 사회복지사, 상담가, 변호사, 경찰관 기업체간부, 교사 등과 같이 강도 높은 대인관계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사람에게서 많이 나타남.
대인관계폭력 : 타인에게 신체적 혹은 정신적으로 폭력을 당하는 경우
사회적 환경 : 교통체증, 지각, 소지품분실, 친구나 가족과의 다툼 등 일상의 사소한 골칫거리들, 직업, 시간압박, 건강, 친구, 대인관계, 금전문제와 같은 영역에서의 발생.
좌절 : 어떤 일이 자신의 뜻이나 기대대로 전개되지 않을 때 느끼는 감정.
심리적 탈진(psychological burnout) : 간호사, 교사, 종교인, 사회복지사, 상담가, 변호사, 경찰관 기업체간부, 교사 등과 같이 강도 높은 대인관계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사람에게서 많이 나타남.
대인관계폭력 : 타인에게 신체적 혹은 정신적으로 폭력을 당하는 경우
스트레스 증상
스트레스 상황에 처하면 그에 대한 신체반응으로 자율신경계의 교감부가 활성화되고, 응급 상황에 반응하도록 신체 자원을 사용하게 됩니다. 신체감각이 예민해지고 짜증이 증가합니다. 불안하고 초조해져 집중을 할 수 없고, 과제수행과 같은 환경적 요구에 대한 대처능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스트레스가 심각하거나 만성화될 경우 개인의 과제수행능력의 손상과 더불어 신체 및 정신적 장애를 야기하기도 합니다. 사람에게서 많이 나타남.
대인관계폭력 : 타인에게 신체적 혹은 정신적으로 폭력을 당하는 경우
심리증상
심리 :불안, 걱정, 근심, 신경과민, 성급함, 짜증, 분노, 불만족, 건망증, 주의집중 곤란, 우유부단, 좌절, 탈진, 우울, 신체증상
근골격 : 두통, 목이 뻣뻣해짐, 이갈이, 어깨통, 요통, 관절염 등 사지의 통증, 손발 차가움, 발한, 가려움증, 피부발진 등
심혈관 : 빠른 박동, 고르지 않은 맥박, 두근거림/현기증, 흉통, 고혈압, 심근경색 등
호흡기 : 숨 참, 과호흡, 천식 등
기타 : 떨림, 장시간 앉아있지 못함, 백일몽, 수면장애(불면/과다수면, 악몽), 피로, 성기능 장애, 면역력 감소(잦은 감기, 암의 악화 등), 뇌졸중 등
근골격 : 두통, 목이 뻣뻣해짐, 이갈이, 어깨통, 요통, 관절염 등 사지의 통증, 손발 차가움, 발한, 가려움증, 피부발진 등
심혈관 : 빠른 박동, 고르지 않은 맥박, 두근거림/현기증, 흉통, 고혈압, 심근경색 등
호흡기 : 숨 참, 과호흡, 천식 등
기타 : 떨림, 장시간 앉아있지 못함, 백일몽, 수면장애(불면/과다수면, 악몽), 피로, 성기능 장애, 면역력 감소(잦은 감기, 암의 악화 등), 뇌졸중 등
행동증상
안절부절 못함, 손톱 깨물기, 발 떨기, 과식, 과음, 흡연 증가, 폭력적 언행, 자해/자살, 타해/타살,
* 참고 : 한국 심리학회 심리학용어사전, 보건복지부 국가건강정보포털, 윤가현 등.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