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소향심리상담센터

강박증

  • HOME
  • 성인상담
  • 강박증

손 씻기, 정돈하기, 확인하기와 같은 반복행동

기도하기, 숫자세기와 같은 정신적 활동

이미지
강박증(강박장애)란?
원하지 않는 생각, 충동, 이미지가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떠올라 불안과 고통을 경험하고, 이러한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손 씻기, 정돈하기, 확인하기와 같은 반복행동과 기도하기, 숫자세기와 같은 정신적인 활동의 형태로 나타나는 강박행동이 주요 증상입니다.
강박증의 원인
생물학적 요인(BIOLOGICAL FACTOR)
전두엽 기능의 손상, 기저핵 기능의 손상, 세로토닌과 관련이 있습니다.
심리사회적 요인(PSYCHOSOCIAL FACTORS)
정신분석이론에서는 강박증상을 방어기제를 통해 무의식적 갈등으로 인한 불안에 대처하려고 할 때 발생한다고 봅니다. 인지행동이론에서는 질병과 같은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강박행동을 하거나 불확실성, 불완전함 대신 완벽함을 추구하기 위해 강박행동이 나타나는 것으로 봅니다.
유형
순수한 강박형 : 외현적인 강박행동 없이 강박사고만 있는 경우
내현적 강박행동형 : 강박사고와 내면적 강박행동만 있는 경우(숫자세기, 단어 반복암송)
외현적 강박행동형 : 강박사고와 외현적 강박행동을 보이는 경우
* 외현적 강박행동
더러운 것에 오염되었다는 생각과 이를 제거하기 위한 청결행동
실수나 사고에 대한 의심과 이를 피하기 위한 확인행동
무의미하거나 미신적인 행동을 반복하는 행동
사물을 정돈하거나 대칭과 균형을 중시하여 재정리하는 정돈행동
낡고 무가치한 쓸모없는 물건을 버리지 못하고 모아두는 수집행동
어떤 일에 대한 처리속도가 느리게 되는 지연행동
치료
노출 및 반응방지법(ERP) : 강박사고에 노출시키고 강박행동은 못하게 하여 강박행동을 하지 않아도 걱정하는 결과가 일어나지 않음을 학습시킵니다.
인지적 치료기법 : 침투적 사고는 위험하지 않고 정상적인 경험이고 침투적 사고의 내용이 비윤리적, 위협적이라도 보편적 현상임을 교육합니다. 침투적 사고에 대한 과도한 책임감, 통제의무감을 갖게 하는 자동적 사고를 찾아내어 변화시킵니다.
파이기법(pie-chart technique) : 침투적 사고에 대한 책임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두려워하는 결과를 야기할 수 있는 요인들의 중요성 정도를 각기 다른 파이 조각들로 분할하여 제시합니다.
이중기준기법(double standard technique) : 환자가 두려워하는 사건이 타인에게 발생하는 경우를 생각하게 하고, 자신에게 두려워하는 사건이 발생한 경우와 타인에게 두려워하는 사건이 발생한 경우, 자신과 타인에게 각각 얼마나 책임을 물을 것인가를 생각하게 합니다. 다른 사람과 자신을 평가하는 기준을 비교하게 하여 강박사고에 대한 과도한 책임감, 죄의식을 감소시키도록 돕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현대 이상심리학(권석만)
심리학 용어사전, 2014. 4.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