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소향심리상담센터

신체화장애

  • HOME
  • 성인상담
  • 신체화장애

신체화장애

신체증상 혹은 건강염려와 관련된 과도한 생각, 느낌 또는 행동
전문가와상담이 필요합니다.

이미지
신체증상장애(Somatic Symptom Disorder)란?
신체적 증상이 있으나 의학적으로 충분한 검사를 한 후에도 이상소견이 발견되지 않고 다음의 진단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A. 고통스럽거나 일상에 중대한 지장을 일으키는 하나 이상의 신체증상이다.
B. 신체증상 혹은 건강염려와 관련된 과도한 생각, 느낌 또는 행동이 다음 중 하나 이상으로 표현되어 나타난다.
1. 증상의 심각성에 대해 편중되고 지속적인 생각
2. 건강이나 증상에 대한 지속적으로 높은 단계의 불안
3. 이러한 증상들 또는 건강염려에 대해서 과도한 시간과 에너지 소비
C. 어떠한 하나의 신체 증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나지 않더라도 증상이 있는 상태가 지속된다(6개월 이상).
이미지
유병률
일반 성인 집단 중 5-7% 정도 발생한다.
위험 및 예후인자
기질적 요인 : 신경증적 경향성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가진 성격특질을 가지고 있거나 불안과 우울이 동반하는 경우
환경적 요인 : 교육기간이 짧고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으며 아동기 어려움이나 최근 스트레스를 받는 사건을 경험한 경우
인지적 요인 : 통증에 대한 민감성, 신체 감각에 과도한 집중, 신체증상을 심리적 스트레스로 받아들이기 보다 의학적 질병으로 보는 경우
치료
신체증상장애의 경우 신체적 증상이 심리적 요인에 의한 것일 수 있음을 인정하지 않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가에게 의뢰되는 것을 거절한다. 하지만 치료자와의 안전한 관계 속에서 신체증상에 관련된 부정적 정서, 심리적 어려움을 표현하여 적절하게 해소하고 사회적 관계에서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과정을 통해 호전될 수 있습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