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은 부모를 벗어나 상대방의 관점을 이해하고
또래와의 친밀감을 갖는 시기

청소년기에는 또래 관계가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시기입니다. 청소년기에는 또래와의 관계, 또래 수용, 또래들 사이에서의 역할과 지위가 가장 중시되지요. 때문에 또래 관계를 통해 커다란 즐거움을 느낄 수도 있지만 또래 관계가 원만하지 않으면 괴로움과 수치심을 느끼기도 한답니다.
이처럼 또래 관계를 중시하게 되는 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습니다. 우선 부모에 대한 의존으로부터 벗어나면서 청소년은 부모 대신 친구를 찾습니다. 그리고 상대방의 관점을 이해하는 능력과 감정적인 생활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면서 또래와의 친밀감을 갖게 됩니다. 또한 자신의 동기와 감정적인 경험을 이해하면서 청소년들은 기 됩니다.
이처럼 또래 관계를 중시하게 되는 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습니다. 우선 부모에 대한 의존으로부터 벗어나면서 청소년은 부모 대신 친구를 찾습니다. 그리고 상대방의 관점을 이해하는 능력과 감정적인 생활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면서 또래와의 친밀감을 갖게 됩니다. 또한 자신의 동기와 감정적인 경험을 이해하면서 청소년들은 기 됩니다.
친밀한 경험을 나누고 싶은 욕구와 그러한 경험을 나눌 수 있는 능력으로 친구들 사이에는 강한 유대감이 생긴답니다. 처음엔 대부분 동성 친구와 이런 친밀한 관계를 맺게 되지요. 청소년기 초기에 나타나는 동성 친구들 간의 단짝 관계는 청소년기 후기에 들어서면서 점점 이성 간의 관계로 대체되고요. 그러나 청소년기 내내 동성 친구 사이는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므로, 교우 관계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답니다.
교우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지배통제, 자기중심성, 냉담, 사회적 억제, 비주장성, 과순응성, 자기희생, 과관여 등이 있습니다. 청소년이 교우관계에 문제를 보일 경우 문제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어떤 이유에서 문제가 발생하는지 심리평가를 통해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맞는 시급한 개입이 필요합니다.
교우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지배통제, 자기중심성, 냉담, 사회적 억제, 비주장성, 과순응성, 자기희생, 과관여 등이 있습니다. 청소년이 교우관계에 문제를 보일 경우 문제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어떤 이유에서 문제가 발생하는지 심리평가를 통해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맞는 시급한 개입이 필요합니다.
지배통제
지배통제가 높은 청소년은 교우관계에서 다른 친구들을 이해하고 배려하기 보다는 지나치게 통제하려 들거나 자기주장만을 내세우는 경향이 있습니다.
자기중심성
자기중심성이 높은 청소년은 교우관계에서 친구의 입장이나 생각을 먼저 고려하거나 배려하기 보다는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우선시하며 쉽게 화를 내고, 민감하게 반응하며 자주 다투는 경향이 있습니다.
냉담
냉담한 청소년은 여러 사람이 함께 하는 모임이나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힘들어 하고, 다른 친구에게 친밀감과 애정을 느끼거나 긍정적인 관계를 장기간 유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사회적 억제
사회적 억제를 보이는 청소년은 친구들에게 말을 걸고,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집단에 참여하거나 학교생활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비주장성
자신을 신뢰하지 못하고 스스로 비주장적이라고 생각하는 청소년은 다른 사람의 주목을 받는 것을 꺼리며 자신의 의사를 밝혀야 하는 상황에서도 다른 친구들에게 권력이나 영향력을 행사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과순응성
과순응적인 청소년은 다른 친구의 부탁을 거절하지 못하고 쉽게 설득당할 수 있고, 다른 친구의 적대감이나 원한을 사지 않기 위해 자신의 분노를 표현하거나 느끼는 것조차 꺼려합니다.
자기희생
자기희생적인 청소년은 자신의 권리나 관심 보다는 다른 사람의 이익이나 욕구를 더 중요하게 여기며 다른 사람들을 실망시키지 않으려고 지나치게 애쓰기 때문에 이로 인해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과관여
과관여가 높은 청소년은 지나칠 정도로 친구들의 개인적인 일에 간섭하려 하고, 다른 사람의 문제해결에 과도한 책임의식을 느끼며, 자신의 사적인 일들을 개방하기 때문에 자신과 다른 사람과의 경계를 분명하게 하지 못하여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참고 : 학지사 심리검사 연구소 아동·청소년 교우관계 문제검사 결과 프로파일